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최윤범 회장 승리 뒤 숨겨진 '진짜 리스크'는?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일단락, 최윤범 회장 경영권 방어 성공했지만… 최근 주목을 받은 고려아연의 경영권 분쟁이 최윤범 회장 측의 경영권 수성으로 일단락됐다. 그러나 이번 주주총회를 통해 표면적으로는 최 회장 측이 경영권 방어에 성공했지만, 향후 법적 대응이 예고된 만큼 분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사건의 배경과 향후 전망, 투자자들이 주의해야 할 점을 살펴보자. 최윤범 회장 측, 이사회 장악으로 경영권 방어 고려아연은 최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계열사 영풍과의 상호주 관계 형성을 통해 영풍의 의결권을 제한함으로써 경영권 방어에 성공했다. 최윤범 회장 측이 추천한 이사 후보 5명 전원이 선출됐으며, 반대로 영풍·MBK파트너스가 추천한 후보 중에서는 강성두 영풍 사장, 김광일 MBK 부회장, 권광석 씨 등 단 3명만이 이사진에 이름을 올렸다. 결과적으로 최 회장 측은 총 11명의 이사를 확보하며 경영권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이날 주총에서 이사 수 상한을 19인 이하로 제한하는 정관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영풍과 MBK파트너스의 이사회 장악 시도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영풍·MBK, 법적 대응 예고…분쟁 장기화 가능성 하지만 경영권 분쟁이 완전히 끝났다고 보기는 어렵다. 영풍·MBK 측은 고려아연의 이번 주총 결과에 대해 즉각적인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특히 영풍 측은 고려아연이 의결권 제한을 위해 상호주 관계를 급히 형성한 것을 비판하며 법원에 항고와 효력 정지 등 가능한 모든 법적 조치를 동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실제로 고려아연은 자회사인 썬메탈홀딩스(SMH)를 통해 영풍 주식 1350주를 추가 매입, 영풍의 의결권 행사를 제한했다. 이는 전날 영풍이 주식 배당을 통해 SMH의 영풍 지분율을 10% 아래로 낮춘 데 대한 긴급 대응 조치였다. 이러한 법적 다툼이 이어질 경우, 장기적인 불확실성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순환출자 이슈와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리스크 이번 분쟁에서 또 하...